본문 바로가기
사주, 타로

기묘월 십성과 육친 기본 관계 해석

by fateprobe 2025. 3. 17.

기묘월 십성과 육친 기본 관계
기묘월 십성과 육친 기본 관계


 

기묘월(己卯月) 기본 정보

  • 천간(己): 음토(陰土), 비옥한 흙, 안정과 조절.
  • 지지(卯): 음목(陰木), 봄의 생장, 지장간은 을(乙, 음목).
  • 오행 관계: 己(토)가 卯(목)을 극(剋), 음과 음의 부드러운 억제.

1. 일간: 甲(양목, 陽木)

음양오행:

  • 甲(양목) vs 己(음토): 목이 토를 극(剋), 강한 나무가 흙을 뚫음.
  • 甲(양목) vs 卯(음목): 목과 목, 양과 음으로 겁재(劫財)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정재(正財) - 안정적 재물.
  • 卯(음목): 겁재(劫財) - 경쟁적 재물 쟁탈.

육친: 정재(부친/재물), 겁재(형제/경쟁자).
동태: 甲은 강한 성장 의지로 己의 억제를 돌파하려 하며, 卯의 겁재로 인해 동료나 경쟁자와의 재물 다툼 가능성.
결론: 성장과 경쟁이 혼재.


2. 일간: 乙(음목, 陰木)

음양오행:

  • 乙(음목) vs 己(음토): 목이 토를 극, 유연한 덩굴이 흙을 감쌈.
  • 乙(음목) vs 卯(음목): 목과 목, 음과 음으로 비견(比肩)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정재(正財).
  • 卯(음목): 비견(比肩) - 협력적 동료.

육친: 정재(부친/재물), 비견(형제/친구).

동태: 乙은 己의 억제를 부드럽게 받아들이며, 卯의 지원으로 조화로운 재물 추구.

결론: 협력과 안정적 재물 흐름.


3. 일간: 丙(양화, 陽火)

음양오행:

  • 丙(양화) vs 己(음토): 화가 토를 생(生), 태양이 흙을 따뜻하게 함.
  • 丙(양화) vs 卯(음목): 화가 목을 생, 상생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상관 - 창의성.
  • 卯(음목): 정인 - 전통적 지식.

육친: 상관(자식/창의), 정인(어머니/후원).

동태: 丙은 기묘월에 따뜻한 에너지를 불어넣어 창의력 발휘, 卯이 연료로 작용.

결론: 창의성과 후원이 강함.


4. 일간: 丁(음화, 陰火)

음양오행:

  • 丁(음화) vs 己(음토): 화가 토를 생, 촛불이 흙을 비춤.
  • 丁(음화) vs 卯(음목): 화가 목을 생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식신(食神).
  • 卯(음목): 편인(偏印).

 

육친: 식신(자식), 편인(어머니).

동태: 丁은 온화하게 기묘월을 밝히며 창의성과 직관적 통찰 조화.

결론: 부드러운 창의력과 지원.


5. 일간: 戊(양토, 陽土)

음양오행:

  • 戊(양토) vs 己(음토): 토와 토, 양과 음으로 겁재(劫財).
  • 戊(양토) vs 卯(음목): 토가 목을 극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겁재(劫財) - 경쟁적 동료.
  • 卯(음목): 정재 - 정규적 재물.

 

육친: 겁재(형제/경쟁), 정재(부친/재물).

동태: 戊는 己와 경쟁하며 안정 강화, 卯의 성장 억제로 재물 관리.

결론: 경쟁과 재물 조절.


 


 

오행 관계: 己(토)가 卯(목)을 극(剋), 음과 음의 부드러운 억제
오행 관계: 己(토)가 卯(목)을 극(剋), 음과 음의 부드러운 억제

6. 일간: 己(음토, 陰土)

음양오행:

  • 己(음토) vs 己(음토): 토와 토, 음과 음으로 비견(比肩).
  • 己(음토) vs 卯(음목): 토가 목을 극.

십성

  • 己(음토): 비견(比肩) - 동등한 동료.
  • 卯(음목): 편재(偏財) - 비정규적 재물.

 

육친: 비견(형제/친구), 편재(부친/재물).

동태: 己는 기묘월의 己와 조화를 이루며 자아 강화. 卯의 성장 욕구를 억제하며 재물 추구.

결론: 자아와 재물의 균형이 특징.


7. 일간: 庚(양금, 陽金)

음양오행:

  • 庚(양금) vs 己(음토): 토가 금을 생(生), 흙이 광석을 품음.
  • 庚(양금) vs 卯(음목): 금이 목을 극, 도끼가 나무를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정인(正印) - 전통적 지식, 보호.
  • 卯(음목): 정관(正官) - 규범, 책임.

육친: 정인(어머니/후원), 정관(사회적 권위).

동태: 庚은 己의 지원으로 안정적 기반 확보, 卯의 목을 강하게 제어하며 규율 유지.

결론: 규범과 후원의 조화.


8. 일간: 辛(음금, 陰金)

음양오행:

  • 辛(음금) vs 己(음토): 토가 금을 생, 흙이 보석을 품음.
  • 辛(음금) vs 卯(음목): 금이 목을 극, 섬세한 칼이 나무를 다듬음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편인.
  • 卯(음목): 편관.

 

육친: 편인(어머니), 편관(권위).

동태: 辛은 己의 온화한 지원으로 세련된 면모 발휘, 卯을 부드럽게 제어하며 질서 확립.

결론: 섬세한 규율과 지원.


9. 일간: 壬(양수, 陽水)

음양오행:

  • 壬(양수) vs 己(음토): 토가 수를 극(剋), 흙이 물을 막음.
  • 壬(양수) vs 卯(음목): 수가 목을 생, 물이 나무를 키움.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편관(偏官) - 강한 권위, 압박.
  • 卯(음목): 식신(食神) - 창의성.

 

육친: 편관(사회적 압력), 식신(자식/표현).

동태: 壬은 己의 억제로 저항받으나, 卯의 상생으로 창의력 발휘하며 돌파 시도.

결론: 압박 속 창의적 저항.


10. 일간: 癸(음수, 陰水)

음양오행:

  • 癸(음수) vs 己(음토): 토가 수를 극, 흙이 이슬을 흡수.
  • 癸(음수) vs 卯(음목): 수가 목을 생, 부드러운 상생.

 

십성:

  • 己(음토): 편관(偏官).
  • 卯(음목): 식신(食神).

 

육친: 편관(압력), 식신(창의).

동태: 癸는 己의 억제를 온화하게 받아들이며, 卯의 도움으로 창의적 표현 가능.

결론: 억제 속 부드러운 창의력.


기묘월(己卯) 중심 10천간별  일간 육친 정리

1. 일간: 甲(양목, 陽木)

십성: 己(정재), 卯(겁재).

육친:

  • 정재(부친/재물): 부친의 조언이나 가문의 안정적 자원이 甲의 강한 성장 의지에 실질적인 기반을 제공. 재물은 노력과 결실로 연결됨.
  • 겁재(형제/경쟁자): 형제나 동료와의 경쟁 구도가 두드러지며, 특히 재물이나 자원 분배에서 긴장감이 생길 가능성 있음.

2. 일간: 乙(음목, 陰木)

십성: 己(정재), 卯(비견).

육친:

  • 정재(부친/재물): 부친의 실질적 지원이나 안정된 재물 흐름이 乙의 유연한 성장을 뒷받침. 가족의 도움이 큰 역할.
  • 비견(형제/친구): 형제나 친구와의 협력이 강조되며, 서로를 보조하고 재물을 공유하는 조화로운 관계 형성.

3. 일간: 丙(양화, 陽火)

십성: 己(상관), 卯(정인).

육친:

  • 상관(자식/창의): 자식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영감이 생기거나, 후배 및 주변 인물과의 교류를 통해 표현력이 강화됨.
  • 정인(어머니/후원): 어머니나 멘토의 비전통적 조언이 丙의 뜨거운 에너지를 북돋아, 새로운 도전을 지원.

4. 일간: 丁(음화, 陰火)

십성: 己(식신), 卯(편인).

육친:

  • 식신(자식/창의): 자식이나 후배와의 상호작용에서 온화한 창의성이 발휘되며, 부드러운 교감이 특징.
  • 편인(어머니/후원): 어머니의 섬세한 지원이 丁의 표현력을 돕고, 안정적인 후원으로 작용.

5. 일간: 戊(양토, 陽土)

십성: 己(겁재), 卯(정재).

육친:

  • 겁재(형제/경쟁자): 형제나 동료와의 경쟁이 두드러지며, 특히 자원이나 권한을 둘러싼 갈등이 생길 수 있음.
  • 정재(부친/재물): 부친의 정규적이거나 예상치 못한 지원이 특징이며, 재물은 돌발적 기회로 유입.

6. 일간: 己(음토, 陰土)

십성: 己(비견), 卯(편재).

육친:

  • 비견(형제/친구): 형제나 동료와의 동등한 관계가 강조되며, 상호 협력으로 안정감을 유지하는 시기.
  • 편재(부친/재물): 부친의 비정규적 지원이나 뜻밖의 재물 유입이 있으며, 가족의 영향이 재물 흐름에 반영.

7. 일간: 庚(양금, 陽金)

십성: 己(정인), 卯(정관).

육친:

  • 정인(어머니/후원): 어머니나 스승의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조언이 庚의 강한 실행력을 뒷받침.
  • 정관(사회적 권위): 가족 외부의 권위자(상사 등)와의 관계가 중요하며, 책임감 있는 역할 부여 가능.

8. 일간: 辛(음금, 陰金)

십성: 己(편인), 卯(편관).

육친:

  • 편인(어머니/후원): 어머니의 온화한 지원이 辛의 세련된 면모를 강화하며, 안정적 배경 제공.
  • 편관(사회적 권위): 가족 밖의 권위자와의 관계에서 섬세한 책임감이 요구되는 시기.

9. 일간: 壬(양수, 陽水)

십성: 己(편관), 卯(겁재).

육친:

  • 정관(사회적 압력): 가족 외부의 강한 권위나 압박(상사 등)이 壬의 자유로운 흐름을 제약할 수 있음.
  • 겁재(자식/창의): 자식이나 후배와의 교류에서 창의적 돌파구가 생기며, 긍정적 에너지로 작용.

10. 일간: 癸(음수, 陰水)

십성: 己(편관), 卯(식신).

육친:

  • 편관(사회적 압력): 가족 밖의 권위나 억제가 癸의 부드러운 흐름을 조절하며, 조심스러운 대응 필요.
  • 식신(자식/창의): 자식과의 관계나 후배와의 교감에서 온화한 창의성이 발휘되어 위안을 얻음.

 

정리 요약

육친 역할 확장: 각 천간별로 육친(부친, 형제, 자식, 어머니, 사회적 권위 등)이 단순히 상징적 존재를 넘어 구체적인 영향력(지원, 경쟁, 조언, 압박 등)을 미치는 요소로 설명됨.


특징: 기묘월의 己(음토)와 卯(음목) 환경에서 육친은 재물, 창의성, 경쟁, 안정 등 동태에 직접 관여하며, 가족 및 주변 관계의 상호작용이 두드러짐.

기묘월(己卯) 중심 10천간별 일간 육친
기묘월(己卯) 중심 10천간별  일간 육친